|
-
[비공개] 6일 전쟁 지상전 Vol.7 [ 3차 중동전 : 1967년 ( 웨스트..
이스라엘이 전쟁을 결심한 1967년 6월, 중동의 상황은 일촉즉발의 분위기였다. 이스라엘은 시나이지역 서부국경지대에 집결하는 이집트군전력을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문제는 이집트만이 아니었다. 동쪽 국경지대..sundin의 HISTORY BASE|2021-07-07 03:19 pm추천 -
[비공개] 새로 공개된 미공군 B-21 렌더링 [ 2021.7.6. ]
지난 포스트에서 소개했던 미공군 차관의 발언을 통해 차기 폭격기 B-21의 개발 일정이 당초 2022년이 아닌 2021년 12월로 당겨졌다는 소식을 알린바 있다. 최초 일정은 2021년 이었으나 바이러스 사태로 늦어진 일정 탓에 2022년으..sundin의 HISTORY BASE|2021-07-07 09:30 am추천 -
[비공개] 작지만 중요한 반격 [ 북부 전략보급로 공격 격퇴 : 2021. 7..
1) 제한적 방어전 성과 : 아프간 정부가 탈레반에게 속수무책으로 밀리는 양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드물지만 반격소식이 나왔다. "사만간"주 중심부에 위치한 "하즈랏 술탄" 행정지구에 대한 탈레반의 공격이 지난 월요일 7월 5..sundin의 HISTORY BASE|2021-07-07 07:20 am추천 -
[비공개] 6일 전쟁 이벤트 일러스트 [ 시나이 전선 ]
1) 시나이전선 양측 대치 : 지도 좌측은 이집트, 우측은 이스라엘이다. 붉은 원지역이 이집트군의 방어포진인데 지형상 기동로에 위치해 있어 돌파하지 않고 우회하기 쉽지 않다. 2. 움 카테프 공방전 시나이 전역으로 이스라엘..sundin의 HISTORY BASE|2021-07-06 10:08 pm추천 -
[비공개] 6일 전쟁 지상전 Vol.6 [ 웨스트뱅크 전선 -포토- ]
6일 전쟁 계획에서 이스라엘측은 옆구리를 노리는 예루살렘 문제를 해결하기로 했다. 이집트 방면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되자 요르단의 웨스트뱅크와 동 예루살렘을 공략했다.sundin의 HISTORY BASE|2021-07-06 05:05 pm추천 -
[비공개] 6일 전쟁 지상전 Vol.5 (시나이 전선 )
시나이 중부지역 일대에 배치된 이집트 기갑전력은 7기갑사단과 2개 기갑여단 등을 중심으로 500대 이상의 전차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스라엘군이 "움 카테프" 방어선 돌파를 위해 노린 북부 모래사구로 진격했을 때, 이집트 수..sundin의 HISTORY BASE|2021-07-06 12:07 pm추천 -
[비공개] 인구밀집지역, 핵심보급로 위주로 사수한다. [ 아프간 육군 사령관 인..
아프간 정부군과 탈레반의 내전이 한창이라 현지 언론사를 통해 전황이 소개되고 있다. 어쩌면 아프간 공화국의 마지막을 생생하게 지켜보는 것이 될 거 같다. 가능하면 전황에 대한 뉴스를 업데이트 하려고 한다. 1) 하루(24시..sundin의 HISTORY BASE|2021-07-06 10:02 am추천 -
[비공개] 독일공군, 흑해 연합훈련 [ 2021년 7월, NATO 흑해연안 ..
2021년 7월초, 나토 공군과 해군이 흑해 일대에서 연합훈련을 실시했다. 그 일환으로 독일 공군 파견대가 루마니아 흑해연안 "콘스탄차"에 모여 연합훈련을 실시. 해상에서는 나토해군 함정들의 훈련이 실시되었는데 러시아 해..sundin의 HISTORY BASE|2021-07-06 07:25 am추천 -
[비공개] 6일 전쟁 지상전 Vol.4 (시나이 전선 - 포토 컬렉션)
6일 전쟁 시나이 전선 기록사진 컬렉션. 자세한 설명은 사진별로 추가했다.sundin의 HISTORY BASE|2021-07-05 09:11 pm추천 -
[비공개] 미해군 군사고문단 [ 1959~ 64 : 빌드업 시대 ]
1956년 프랑스가 남베트남에서 떠나며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완전히 손을 턴 이후 미국은 남베트남의 후원자가 된다. 치안문제가 서서히 심각해지면서 미군고문단은 규모를 늘리고 카운터파트인 남베트남군에 대한 교육을 늘..sundin의 HISTORY BASE|2021-07-05 05:56 pm추천 -
[비공개] 근 3달만의 복귀 [ 찰스 클러스맨 대위 : 1964년 6월 6일 ..
미국의 동남아 작전 당시 라오스는 형식적으로 중립국이나 실질적으로 라오스 동부 국경산악지대, 통칭 호치민 루트 일대는 북베트남군에 점령되어 군사기지와 보급창으로 활용되었으며 라오스 북부 "자르" 평원은 라오스 공..sundin의 HISTORY BASE|2021-07-05 04:38 pm추천 -
[비공개] 국무성 블랙호크, 아프간 주재 미국항공자산의 주력 [ 아프간내 미군..
2021년 7월 1일부로 카불 북쪽 "파르완"주의 "바그람" 공군기지가 아프간 정부에 인도되면서 미군의 항공전력은 이제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수도 "카불"에 미국대사관과 수비대가 주둔하는 이상 누군가는 그 일을 맡아야만 한..sundin의 HISTORY BASE|2021-07-05 10:56 am추천 -
[비공개] 부비트랩 설치 실사례 [ 주월미군사령부 부비트랩사례 문서 ]
부비트랩의 사용은 보편화되었기에 새로울 것은 없지만 실제 설치사례는 흥미로운 것이 많다. 1965년 11월 MACV(주월미군사)가 배포한 베트콩 부비트랩사례문서에 소개된 패턴 중 일부를 소개하려고 한다. 익숙하고 흔히 아는 스..sundin의 HISTORY BASE|2021-07-04 10:11 pm추천 -
[비공개] 6일 전쟁 지상전 Vol.3 (시나이 전선 - 포토 컬렉션)
(글의 앞부분이 이미지 혹은 HTML 태그만으로 되어있습니다)sundin의 HISTORY BASE|2021-07-04 05:43 pm추천 -
[비공개] 아프간 내전현황 (지도 : 세력분포)
2021년 5월부터 탈레반의 대공세가 진행 중이다. 그 이전에도 공격수위를 높여왔지만 5월 공세는 본격적인 최종공세라 할만하다. 다수의 행정구역이 탈레반에 넘어갔고, 탈레반은 점령구역에서 미디어 등 언론활동을 금하고 있..sundin의 HISTORY BASE|2021-07-04 01:47 pm추천